2019. 4. 5. 15:20ㆍ[한자자료]/古典的 意味
無語別(무어별) - 林悌(임제)(1549~1587)
十五越溪女(십오월계녀)
아리따운 소녀, 나이는 열 다섯
羞人無語別(수인무어별)
부끄러워 말도 못 건 채 헤어졌구나
歸來掩重門(귀래엄중문)
집에 돌아와 덧문까지 닫아걸고서
泣向梨花月(읍향이화월)
배꽃같이 하얀 달을 쳐다보며 눈물 진다
男女間 사랑의 감정은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것인데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이를 억제했다.
연애를 禁忌視(금기시)하였고 본인의 의사와는 무관한 결혼을 강요당했다.
야만이 문명으로 강변되던 시절이었다. 사춘기의 이 소녀는 어느 집 도령을 짝사랑하고 있나 보다.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지도 못 한 채 집에 돌아와서 방문을 걸어 잠그고 달을 쳐다보며 소리 없이 흐느낄 뿐이다.
이 시의 작자 林悌는 당대의 好男兒(호남아)요 風流客(풍류객)이며 자유인이었다.
평양기생 一枝梅(일지매)와의 艶聞(염문)으로 유명하며 피리를 잘 불었다 한다.
感性(감성)이 풍부한 이 시인은 男女七歲不同席으로 대변되던 그 시대의 모순을 어여쁜 소녀를 통하여 지적하고 있다.
“보소! 사랑은 아름다운 것이야.”라면서.
*越溪女(월계녀) 시냇가에서 발을 씻는 월나라 여인 즉 西施(서시)를 가리킨다.
美人의 通稱. *羞(수) 부끄러워하다, 부끄럼 *掩(엄) 가리다, 숨기다, 감싸다, (문을)닫다.
*泣(읍) 소리는 내지 않고 눈물만 흘리는 울음, 눈물
일지매(一枝梅)는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는 탐관오리들의 재물을 빼앗아
그 자리에 매화나무 한가지의 그림을 두고 사라지는 중국의 가공 인물이다.
그러나 조선 숙종 당시 일지매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 유행하면서,
자칭 일지매를 자처하며 관아를 털던 도적이
붙잡히기도 했다. 그러나 일지매를 자처한 도적의 실존여부나 활동은 구체적이지 않아
임꺽정, 홍길동, 전우치, 장길산과 같이 취급되지는 않는다.
일지매는 도둑 중의 협객이다. 매양 탐관오리의 부정한 뇌물을 훔쳐 양생송사(養生送死)가 어려운 사람들에게 나누어준다. 처마와 처마 사이를 날고 벽에 붙어 날래기가 귀신이다. 도둑을 맞은 집은 어떤 도둑이 들었는지 모를 것이지만 스스로 자기의 표지를 매화 한 가지(一枝梅)를 붉게 찍어 놓는다. 대개 혐의를 남에게 옮기지 않으려는 까닭이었다.
'[한자자료] > 古典的 意味' 카테고리의 다른 글
貧女吟(빈여음)ㅡ (0) | 2019.04.05 |
---|---|
秋夜雨中(추야우중) (0) | 2019.04.05 |
山寺夜吟(산사야음) - 松江 鄭澈(송강 정철 1536~1593) (0) | 2019.04.05 |
對酒(대주) / 백거이(白居易 772~846, 당나라 시인) (0) | 2019.04.05 |
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1287~1367) (0) | 2019.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