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1287~1367)
2019. 4. 5. 14:22ㆍ[한자자료]/古典的 意味
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1287~1367)
紙被生寒佛燈暗(지피생한불등한)
얇은 이불 춥고, 불등도 꺼졌는데
沙彌一夜不鳴鍾(사미일야불명종)
사미승은 밤새도록 종 한 번 안치네
應嗔宿客開門早(응진숙객개문조)
손님이 일찍 문 열면 투덜거리겠지만
要看庵前雪壓松(요간암전설압송)
절 마당의 눈 덮인 소나무를 봐야겠네
깊은 산중에 있는 조그만 암자에서 하룻밤을 신세지고 있다.
겨울철 산속은 해가 일찍 진다. 초저녁에 잠이 들었다가 추워서 잠이 깨었으나 아직 한밤중이다.
불당을 밝히던 등잔불도 꺼지고 방바닥의 온기도 이미 식어 버렸는데
절에서 심부름하는 사미승은 잠에서 깰 줄을 모른다.
불당에 불을 밝히고 손님 방에 군불도 지펴 주면 좋으련만 예불도 생략한 채 단잠에 빠져 있다.
손님이 새벽부터 인기척을 내면 게으른 사미승이 짜증을 내겠지만 찬 방에 누워 있느니
차라리 마당에 나가 눈 쌓인 경치나 구경하련다.
한적한 절집 분위기가 쓸쓸하지만 웬지 포근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沙彌(사미):불문에 갓 들어간 어린 중. 사미승 *嗔(진):성내다.
'[한자자료] > 古典的 意味' 카테고리의 다른 글
山寺夜吟(산사야음) - 松江 鄭澈(송강 정철 1536~1593) (0) | 2019.04.05 |
---|---|
對酒(대주) / 백거이(白居易 772~846, 당나라 시인) (0) | 2019.04.05 |
冬夜(동야) / 黃景仁(황경인 淸 시인 1749~1783) (0) | 2019.04.05 |
悟道頌(오도송) / 卍海 韓龍雲(만해 한용운 1879~1944) (0) | 2019.04.05 |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 (0) | 201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