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酒(대주) / 백거이(白居易 772~846, 당나라 시인)
2019. 4. 5. 14:25ㆍ[한자자료]/古典的 意味
對酒(대주) / 백거이(白居易 772~846, 당나라 시인)
蝸牛角上爭何事(와우각상쟁하사)
달팽이 뿔 끼리 싸움은 웬 일인가
石火光中寄此身(석화광중기차신)
부싯돌 번쩍이는 찰라 같은 인생인데
隨富隨貧且歡樂(수부수빈차환락)
부자건 가난하건 그런 대로 즐겁거늘
不開口笑是痴人(불개구소시치인)
입 벌려 못 웃는 자 이 또한 바보일세
白樂天이 장안에서 형부시랑 벼슬할 때 지은 對酒라는 제목의 다섯 수의 시 중 하나로
莊子에 나오는 달팽이 우화와 도척과 孔子의 일화를 빌려 지었다.
어차피 짧은 인생인데 대범하고 낙천적으로 살라고 권한다.
마음 맞는 친구와 술잔을 마주할 때 권주가로 읊조리기에 어울리는 시이긴 하지만 이 시 속에 담긴 뜻은 매우 심오하다.
蝸牛(와우):달팽이. 蝸牛之爭(와우지쟁) 또는 蝸角之爭(와각지쟁):莊子(장자) 則陽篇(칙양편)에 나오는 우화.
가까운 사람끼리 사소한 일로 싸우지 말라는 뜻.
石火光中(석화광중):부싯돌에서 나는 불빛처럼 지극히 짧은 시간을 이르는 말.
不開口笑(불개구소):莊子(장자) 盜拓篇(도척편)에 나오는
開口而笑者一月中四五日(개구이소자일월중사오일):웃으며 사는 날은 한 달에 불과 4~5일에 불과하다.
인생은 짧고 우환이 많은 것이니 가급적이면 즐겁게 웃으며 살라는 뜻.
'[한자자료] > 古典的 意味'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夜雨中(추야우중) (0) | 2019.04.05 |
---|---|
山寺夜吟(산사야음) - 松江 鄭澈(송강 정철 1536~1593) (0) | 2019.04.05 |
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1287~1367) (0) | 2019.04.05 |
冬夜(동야) / 黃景仁(황경인 淸 시인 1749~1783) (0) | 2019.04.05 |
悟道頌(오도송) / 卍海 韓龍雲(만해 한용운 1879~1944) (0) | 2019.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