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4. 1. 15:47ㆍ[한자자료]/四字小學
紙筆硯墨(지필연묵)文房四友(문방사우)晝耕夜讀(주경야독)螢雪成功(형설성공)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은, 글방의 네 가지 벗이니라.
낮에는 밭 갈고 밤에는 글을 읽고.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을 이루니라.
※형설(螢雪-차윤과 송강의 고사
君爲臣綱(군위신강)父爲子綱(부위자강)夫爲婦綱(부위부강)是謂三綱(시위삼강)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고,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고,
남편은 아내의 벼리가 되나니,이를 삼강이라 이르니라.
父子有親(부자유친)君臣有義(군신유의)夫婦有別(부부유별)長幼有序(장유유서)
아버지와 자식은 친함이 있고,임금과 신하는 의리가 있고,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고,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고,
朋友有信(붕우유신)是謂五倫(시위오륜)禮義廉恥(예의염치)是謂四維(시위사유)
벗과 벗은 믿음이 있나니,이를 오륜이라 이르니라.
예절과 의리와 청렴함과 부끄러움은,이를 사유라 이르니라.
近墨者黑(근묵자흑)近朱者赤이(근주자적)蓬生麻中(봉생마중)不扶自直(불부자직)
먹을 가까이 하는 사람은 검어지고,주사(朱沙. 붉은 것)를 가까이 하는 사람은 붉어지니라.
쑥이 삼 가운데서 자라면,붙들지 않아도 스스로 곧아지니라.
男有四德(남유사덕)身言書判(신언서판)女有四譽(여유사예)德容言工(덕용언공)
남자는 네가지 덕이 있으니,풍채와 말솜씨와 글솜씨와 판단력이니라.
여자는 네가지 예(譽=기림)가 있으니,덕스러운 마음씨와 맵씨와 말씨와 솜씨니라.
足容必重(족용필중) 手容必恭(수용필공) 目容必端(목용필단) 口容必止(구용필지)
발의 동작(動作)은 반드시 무거운 듯이 하고 손의 동작(動作)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하고,
눈의 모습은 반드시 단정(端正)하게 하고 입의 모습은 반드시 다물고 있는 듯이 하고,
聲容必靜(성용필정) 氣容必肅(기용필숙) 色容必莊(색용필장) 頭容必直(두용필직)
소리의 모양은 반드시 고요하게 하고, 기운의 모양은 반드시 엄숙하게 하고,
안색의 모양은 반드시 장엄하게 하고, 머리의 모양은 반드시 곧게 하고
立容必德(입용필덕) 是謂九容(시위구용) 視思必明(시사필명) 聽思必聰(청사필총)
소학(小學)ㅡ 서있는 모양은 반드시 덕스럽게 하나니,이를 구용이라 이르니라.
봄은 반드시 밝게 보기를 생각하고,들음은 반드시 밝게 듣기를 생각하고
色思必溫(색사필온) 貌思必恭(모사필공) 言思必忠(언사필충) 事思必敬(사사필경)
안색은 반드시 온화함을 생각하고,(거동의) 모양은 반드시 공손하게 하고 .
말은 반드시 충실함을 생각하고,일은 반드시 공경함을 생각하고
忿思必難(분사필난) 疑思必問(의사필문) 見得思義(견득사의) 是謂九思(시위구사)
분함에 반드시 어려움을 생각하고,의심남에 반드시 물음을 생각하고,
이득을 봄에 옳은가를 생각하나니,이를 구사라 이르니라.
九思ㅡ『논어(㉠논(論)하다, 논의하다
㉡서술하다(敍述--)
')">論㉡소리
㉢말하다
')">語)』에 밝힌 군자(㉡남편(男便)
㉢부모(父母)
')">君㉡자식
㉢첫째 지지
')">子)가 늘 생각해야 할 아홉 가지 일.
곧 분명(㉠나누다
㉡나누어 주다, 베풀어 주다
')">分㉡밝히다
㉢날새다
')">明)히 보도록 할 것, 얼굴빛을 온화(㉡따뜻하게 하다
㉢데우다
')">溫㉡화목하다(和睦--)
㉢온화하다(溫和--)
')">和)하게 가질 것, 몸을 공손(㉡삼가다, 직분(職分)을 다하다
㉢받들다
')">恭㉡순하다(順--)
㉢사양하다(辭讓--)
')">遜)하게 가질것
말을 충직(㉡공평
㉢정성(精誠)
')">忠ⓑ품삯 (치)
ⓒ만나다, 당하다(當--) (치)
')">直)하게 할 것, 일을 조심스럽게 할 것, 의심(ⓑ한데 뭉치다 (응)
ⓒ집결하다(集結--) (응)
')">疑㉡생각
㉢염통, 심장(心臟)
')">心)스러우면 물어 볼 것,
성날 때에는 어려움을, 무엇을 얻거든 옳음을 각각(㉡따로따로
㉢여러
')">各㉡따로따로
㉢여러
')">各) 생각할 일 등(㉡등급(等級), 계급
㉢순위
')">等)
終身讓畔(종신양반)不失一段(불실일단)終身讓路(종신양로)不枉百步불왕백보)
소학(小學)
ㅡ종신토록 밭두둑을 양보(㉡양보하다(讓步--)
㉢겸손하다(謙遜ㆍ謙巽--)
')">讓㉡보(거리의 한 단위)
㉢행위(行爲)
')">步)한다 할지라도 한 단보(땅 넓이의 단위(ⓑ고을 이름 (선)
㉠홑, 하나
')">單ⓑ도달하다 (리)
ⓒ나아가다 (리)
')">位))를 잃지는 않을 것이다.
德業相勸(덕업상권)過失相規(과실상규)禮俗相交(예속상교)患難相恤(환난상휼)
향약(鄕約)ㅡ조선 시대에,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의 자치 규약.
중국 송나라 때의 여씨 향약(呂氏鄕約)을 본뜬 것으로, 조선 중종 때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의 주장으로 추진되어 영·정조 때까지 전국 각지에서 실시하였다.
貧窮患難(빈궁환난)親戚相救(친척상구)婚姻死喪(혼인사상)隣保相助(인보상조)
소학(小學) ㅡ빈궁(㉡모자라다
㉢부족하다(不足--)
')">貧㉡(극에)달하다
㉢마치다, 중단하다
')">窮)이나 환난(㉡병, 질병(疾病)
㉢재앙(災殃)
')">患ⓑ굿하다 (나)
ⓒ어찌 (나)
')">難)에는 친척(㉡가깝다
㉢사랑하다
')">親ⓑ조급하다(躁急--) (촉)
ⓒ긴박하다(緊迫--) (촉)
')">戚)끼리 서로 구원(㉡고치다, 치료하다(治療--)
㉢막다, 못 하게 하다, 금지하다(禁止--)
')">救㉡당기다
㉢잡다
')">援)하여 주고,
혼인(㉡결혼하다(結婚--)
㉢처가(妻家)
')">婚㉡장인(丈人)
㉢시아버지
')">姻)과 상사(㉡복 입다
㉢죽다, 사망하다(死亡--)
')">喪㉡직업(職業)
㉢재능(才能)
')">事)에는 이웃끼리 서로 도와야 한다.
修身齊家(수신제가)治國之本(치국지본)士農工商(사농공상)是曰四民(시왈사민)
몸을 닦고 집안을 가지런히 함은,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이니라.
선비와 농부와 장인과 상인은이를 사민이라 말하니라.
鰥寡孤獨(환과고독)是謂四窮(시위사궁)發政施仁(발정시인)先施四者(선시사자)
홀아비와 과부와 고아와 홀로된 늙은이는 이를 사궁이라 이르니라.
정사를 펴서 인을 베풀되 먼저 네 사람에게 베풀지니라.
이이의 격몽요결의 처세훈 '九容九思'
◇ 구용(九容) : 아홉가지 모습
1.족용중(足容重) 발을 옮겨 걸을 때는 무겁게 한다.
2.수용공(手容恭) 손은 쓸데없이 움직이지 않고, 일이 없을 땐 공손하게 모은다.
3.목용단(目容端) 눈은 단정하게 곱게 뜨고 정면을 본다.
4.구용지(口容止) 입은 조용히 다물어야 한다.
5.성용정(聲容靜) 말소리는 나직하고 조용하게 한다.
6.두용직(頭容直) 머리는 곧고 바르게 하고 의젓한 자세를 지킨다.
7.기용숙(氣容肅) 호홉을 올바르게하고 안색을 편안히해 엄숙한 기상을 가진다.
8.입용덕(立容德) 서 있는 모습은 그윽하고 덕성이 있어야 한다.
9.색용장(色容莊) 얼굴표정은 명랑하고 씩씩하게 갖는다.
◇ 구사(九思) : 아홉가지 생각
1.시사명(視思明) 볼 때는 밝고 바르게 볼 것을 생각한다.
2.청사총(聽思聰) 들을 때는 참 뜻을 바르게 들을 것을 생각한다.
3.색사온(色思溫) 표정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한다.
4.모사공(貌思恭) 몸가짐을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한다.
5.언사충(言思忠) 말은 바르고 정직하게 할 것을 생각한다.
6.사사경(事思敬) 어른을 섬길 때는 공경스럽게 할 것을 생각한다.
7.의사문(疑思問) 모르는 것은 남에게 물어 배울 것을 생각한다.
8.분사난(忿思難) 화날 때는 어려운 지경에 이르지 않을 것을 생각한다.
9.견득사의(見得思義) 자기에게 이로운 것은 그것이 정당한 것인가를 생각한다.
四端(人性之四端)
단(ⓑ홀 (전)
㉠끝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端)은 실마리의 뜻으로, 사람의 본성(㉡(초목의)뿌리
㉢(초목의)줄기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本㉡바탕
㉢성질(性質), 사물(事物)의 본질(本質)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性)에서 우러나는 네 가지 마음씨란 뜻 곧,
①인(㉡감각(感覺)이 있다, 민감하다(敏感--)
㉢사랑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仁)에서 우러나는 측은지심(㉡감창하다(感愴--: 사무쳐 슬프다)
㉢가엾게 여기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惻㉡점치다
㉢가엾어 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隱㉡(영향을)끼치다
㉢쓰다, 사용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之㉡생각
㉢염통, 심장(心臟)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心) ②의(㉡바르다
㉢선량하다(善良--), 착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義)에서 우러나는 수오지심(㉡수줍어하다
㉢두려워하다, 겁내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羞ⓑ나쁘다 (악)
ⓒ더럽다 (악)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惡㉡(영향을)끼치다
㉢쓰다, 사용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之㉡생각
㉢염통, 심장(心臟)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心)
③예(㉡예절(禮節)
㉢절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禮)에서 우러나는 사양지심(㉡문체(文體) 이름
㉢핑계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辭㉡양보하다(讓步--)
㉢겸손하다(謙遜ㆍ謙巽--)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讓㉡(영향을)끼치다
㉢쓰다, 사용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之㉡생각
㉢염통, 심장(心臟)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心) ④지(㉡알리다, 알게 하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知)에서 우러나는 시비지심(㉡여기
㉢무릇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是㉡그르다
㉢나쁘다, 옳지 않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非㉡(영향을)끼치다
㉢쓰다, 사용하다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之㉡생각
㉢염통, 심장(心臟)
')" [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안내]태그제한으로등록되지않습니다-xxonmouseout="tooltipOff()">心)의 네 가지
1.仁 <惻隱之心(측은지심)> 불상하게 여기는 마음 ㅡ元/東
2.義 <羞惡之心(수오지심)> 부끄러워 하는 마음 ㅡ利/南
3,禮 <辭讓之心(사양지심)> 사양하는 마음 ㅡ亨/西
4.智 <是非之心(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아는 마음ㅡ貞/北
사덕(四德)
①『주역(㉡골고루
㉢널리
')">周ⓑ편안하다(便安--), 평온하다(平穩--) (이)
ⓒ경시하다(輕視--), 가벼이 보다 (이)
')">易)』에서 말하는 ㉡하느님
㉢임금, 제왕, 천자
')">天㉡도리(道理), 이치(理致)
㉢재주
')">道(천도)의 네 가지 덕인 ㉡우두머리, 두목(頭目), 임금
㉢첫째, 첫째가 되는 해나 날
')">元(원), ⓑ(음식을)올리다 (향)
ⓒ삶다 (팽)
')">亨(형), ㉡이롭게 하다
㉢유익하다(有益--)
')">利(이), ㉡지조가 굳다
㉢마음이 곧바르다
')">貞(정)
②군자(㉡남편(男便)
㉢부모(父母)
')">君㉡자식
㉢첫째 지지
')">子)가 행(ⓑ줄 (항)
ⓒ같은 또래 (항)
')">行)해야 할 네 가지 덕목인 ㉡감각(感覺)이 있다, 민감하다(敏感--)
㉢사랑하다
')">仁(인), ㉡바르다
㉢선량하다(善良--), 착하다
')">義(의), ㉡예절(禮節)
㉢절
')">禮(예), ㉡재능(才能)
㉢꾀, 기지(奇智), 모략(謀略)
')">智(지)
③여자(㉡딸, 처녀
㉢너
')">女㉡자식
㉢첫째 지지
')">子)로서 구비(㉡구비하다(具備--)
㉢온전하다, 족하다
')">具㉡준비하다(準備--)
㉢채우다
')">備)해야 할 네 가지 품성(ⓑ양식(養殖) (름)
ⓒ공경하다(恭敬--) (름)
')">稟㉡바탕
㉢성질(性質), 사물(事物)의 본질(本質)
')">性)인 (德,容.言.工)마음씨, 말씨, 맵시, 솜씨
④인륜의 네 가지 덕목인 ㉡상복(喪服)
㉢제사(祭祀)
')">孝(효), ㉡공경하다(恭敬--)
㉢화락하다(和樂--: 화평하게 즐기다)
')">悌(제), ㉡신임하다(信任--)
㉢맡기다
')">信(신). ㉡공평
㉢정성(精誠)
')">忠(충)
'[한자자료] > 四字小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소학 ;부생아신(父生我身) (0) | 2010.06.18 |
---|---|
第8章 善 行 ㅡ아리랑 목동 (0) | 2010.05.06 |
第7章 敬 身 (0) | 2010.03.29 |
[스크랩] 第5章 朋 友 ,第6章 男女之道 (0) | 2010.03.15 |
第3章 師 恩 ,第4章 兄 弟 (0) | 2010.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