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0. 3. 15:42ㆍ[한자자료]/古典的 意味
中庸解說ㅡ9장
子ㅣ曰 天下國家도 可均也ㅣ며 爵祿도 可辭也ㅣ며 白刃도 可蹈也ㅣ도대 中庸은 不可能也ㅣ니라 칼날도 가히 밟을 수 있으되 중용은 가히 능치 못하느니라.” 기울어졌느니라. 고로 가까운 데부터 힘으로 능히 힘쓰는 자는 다 족히 써 능하거니와 중용에 이르러서는 비록 쉽게 능할 것 같으나 그러나 의로움(義)과 정미로움(精), 어짊이 성숙해져 터럭만큼의 사람 욕심의 사사로움이 없는 자가 아니면 능히 (중용지도에) 미치지 못하느니라. 세 가지는 어려울 것 같지만 쉽고 중용은 쉬울 것 같으나 어려우니, 이는 백성이 써 능한 이가 드문 바이니라. 칼날을 밟으려면 용기가 있어야(勇) 하는데 이는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런 것들은 모두가 한쪽으로 치우친 것이다. 중용의 도에 이르려면 의롭고 정미롭고 어짊이 성숙해져 조금도 사사로운 욕심이 없어야 한다. 가균(可均)하려면 충분히 지혜롭기만 하면 되고, 가사(可辭)하려면 충분히 어질면 되고, 가도(可蹈)하려면 용감하기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얼핏 보기에는 매우 어려운 것 같지만 한쪽으로만 열심히 하면 되는 것이기에 오히려 쉽다. 하지만 중용의 도를 실천하려면 의롭고 정미롭고 어짊이 모두 충분히 성숙되어야 하므로 얼핏 보기에는 쉬울 것 같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다. 공자도 말씀하셨듯이 중용은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다. |
'[한자자료] > 古典的 意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자(朱子)의 대학장구서(大學章句序)ㅡ1부 (0) | 2008.10.06 |
---|---|
11. 省 心 篇 (上)/성 심 편 (상),1ㅡ 1부 (0) | 2008.10.06 |
대학착간고정에 대하여 (0) | 2008.10.03 |
10. 訓 子 篇/훈 자 편 (0) | 2008.10.03 |
영조대왕어제서(英祖大王 御製序) (0) | 2008.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