繼善篇(계선편) -1

2008. 8. 5. 12:41[한자자료]/古典的 意味

 

 

繼善篇(계선편) ㅡ 善行에 대한 글

 

子-曰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니라

(자왈위선자는 천보지위복하고,위불선자는 천보지 위화니라)

★공자께서 가라사대 선한일을 하는 자는 하늘이 복으로써 갚고 악한 일을 하는 자는 하늘이 재화로써 갚느니라.

▷ 子는 夫子의 줄임말로 공자(孔子, B.C. 551∼479)의 존칭이다. 공자는 노(魯)나라의 대학자이자 유교의 원조로서 이름은 구(丘)이고 자(字)는 중니(仲尼)이다.  ▷ 爲 : ~을 하다, ~을 행하다   ▷ ~者 : ~을 하는 사람, ~을 하는 것   ▷ 報 : 갚을 보  ▷ 之 : ~의, ~에 가다

    

漢昭烈이 將終에 勅後主曰勿以善小以不而하고 勿以惡小而爲之니라

한소열이 장종에 칙후주왈물이 선소이 불이하고 물이 악소이 위지하라

 

★한소열이 장차 마칠때에(죽으려 할 때에) 뒤의 임금에게 칙서하여
가로되 선이 작다고 하지 아니하지 말고 악이 작다고하여 하지말라
.

▷ 소열(昭烈)은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황제가 된 후의 시호  ▷ 將 : 장차 장  ▷ 終 : 마칠 종. 죽음을 뜻함.  ▷ 勅 : 조서 칙, 타이를 칙, 경계할 칙. *조서는 천자나 임금의 명령을 적은 문서.  ▷ 후주는 유비의 아들 유선을 말한다.  ▷ 勿 : 말 물 '~하지 말라'와 같이 금지를 나타내는 말  ▷ 以 : ~로써, ~하여서, ~하기 때문에  ▷ 而 : 말 이을 이. ~하고, ~하여, ~이어서, ~하나, ~하여도  ▷ 爲 : 할 위

莊子(장자)-曰 一日不念善(일일불염선)이면 

藷惡(저악)이皆自起(개자기)니라

 ☞ 장자가 말하기를, "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하지 않으면 여러 악한 것이 모두 저절로 일어난다."

  ▷ 諸 : 모두 제, 여러 제  ▷ 皆 : 다 개  ▷ 自 : 스스로 자, 저절로 자, 자기 자

 

*莊子-이름은 周(주)요

楚(초)나라 사람으로 孟子(맹자)와 같은 때의 사람이다.

 
太公이 曰 見善如渴하고 聞惡如聾하라 又曰 善事란 須貪하고 惡事란 莫樂하라 
태공이   왈  견선여갈하고    문악여롱하라     우왈   선사란   수탐하고    악사란   막락하라

  ☞ 태공이 말하기를,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를 때 물을 본 듯이 주저하지 말며, 악한 것을 듣거든 귀머거리 같이 하라." 또 말하기를, "착한 일이란 모름지기 탐내어 하고, 악한 일이란 즐겨하지 말라."

  ▷ 渴 : 목마를 갈  ▷ 聾 : 귀머거리 롱  ▷ 須 : 모름지기 수 '마땅히 ~해야 한다'는 뜻  ▷ 莫 : 없을 막, 말 막. '~하지 말라'(금지의 뜻)

 

*太公-서기전 1122년 사람으로 성은 姜(강)이고 呂尙(여상)이라고도 부른다,

지금의 山東省(산동성)사람


 

 

'[한자자료] > 古典的 意味'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庸 제1장 解說  (0) 2008.08.08
繼善篇(계선편) ㅡ 2  (0) 2008.08.05
유교경전 > >사서 > 중용  (0) 2008.08.05
[스크랩] 만고충신 성삼문  (0) 2008.07.24
別有天地非人間(별유천지 비인간)  (0) 2008.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