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子의 노회철학(老獪哲學)과 中國人

2007. 12. 29. 10:35[한자자료]/古典的 意味

 

 

 

老子의 노회철학(老獪哲學)과 中國人

 

어리석은 자의 지혜와 위장(僞裝)의 효과와 약한자의 힘과 속임을

당하는 자의 소박함을 가르친다.

나무군과 어부의 소박한 생활의 시적(詩的)환상과 찬미로 가득 찬 

중국예술은 이와같은 철학을 떠나서는 존재할 수 없다.

중국 사람들의 평화주의의 근본에는 일시적인 손해를 무릅쓰고

기꺼이 때가 오기를 기다리자는 낙천적인

사상이 있고 運動과  反動의 법칙으로 움직이는 자연과  더불어 만물의 체계 속에서,

아무도 다른 사람을 영원히 지배할 수 없으며 또

아무도 영원이 "바보"가 되라는 법이 없다는 확고한 신념에 있다.

 

자연의 법칙에서는 영원히 남을 지배하는 자나 또 영원히 바보로만 있을 자가 없다는

당연한 결론이 나온다고 한다.

노자가 말했듯이  지혜있는 자는 "다투지 아니하므로 천하에 그와 다툴 자가 없도다'

또 말하길 "난폭한 자가 그 결말이 좋게 되는 자가 있으면 데려오라.

내 그를 스승으로 삼으리라" 하였다 한다.

 

중국 사람들의 평화주의는 인도주의 철학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노회철학에서 나온 것으로,

보편적인 사랑에 기초를 두지 않고 현묘(玄妙)한  지혜의 확고한 형태에 기초를 둔다고 한다.

약한자의 강함과 평화애호자의 승리와, 낮은자의 유리(有利)함을 

老子보다 더 잘 가르친자 없다.

이리하여 노자의 가르침에서 물은 항상 약한자의 힘에 대한 상식으로 되어 있다.

바위도 뚫는 연약한 물방울, 낮은 곳을 찾는 도가의  지혜를 가진 물이다.

한 고을에서도 으뜸이 되고 싶다는 줄리어스  시이저의 욕망과는 반대로 노자는 "결코 세상에서

우두머리가 되지 말라" 라고 하였다.

노자는 또 말하길 "천치 바보들은 복이 있나니 저희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들이니라"

했고,  '가장 지혜로움은 바보와 같고, 가장 말 잘함은 말더듬이와 같다" 함에

장자(莊子)는 "소지(小知)를 버려라" 라고 했다 한다 .

 

우인(愚人)이 평판이 좋은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료간에 너무 영리하게 행동하는 자는 틀림없이 미움을 받는다.

우리가 좋와하는 친구는 뛰어난 능력이 우리가 존경하는 친구가 아니라, 오히려 어리석은

하인이 더 좋다고 하는데, 이유로는 좀더 믿을 만하고,

같이 있으면 안심이 되고 경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 한다.

중국 역사에서 유명한 遇人이 수없이 많다 한다.

정말로 머리가 돌았는지 혹은 꾸민 행동인지는 몰라도

그걸로 인해 인기가 대단하고 사랑을 받고 있다.

老子의 노회철학이 가장 숭고한 平和, 관용(寬容), 소박(素朴), 지족(知足)의 정신입니다.

 

현명한 남자는 대체로 너무 영리한 아내를 얻고자 하지 않고,

현명한 여자는 인생의 반려자로 너무 영리한 남편을 택하지 않는다.

 

제 잘난 듯이  환상에 도취된 작은 관리나, 값진 보석을 전시하며

사교계의 벼락부자가 된 여자나,

불후의 작가들에 끼게 되였다고 하여 간소한 본연의 인간성을 버리는

애숭이 작가들보다 더 소견 좁은

인간은 없다는 말은 요즈음  한참 터지고 있는 비리의 사회상을  두고 한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