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3. 3. 14:57ㆍ[한자자료]/四字小學
[ 사자소학 ]第2章 學 問
飽食暖衣(포식난의) 逸居無敎(일거무교)卽近禽獸(즉근금수)聖人憂之(성인우지)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옷 입고, 편안하게 살면서 가르침이 없다면, 꽃 바구니 옆에 끼고 나물 캐는 아가씨야
始習文字(시습문자)字劃楷正(자획해정)書机書硯(서궤서연)自正其面(자정기면) 처음으로 문자를 익히거든, 글자의 획을 곧고 바르게 하라. 아주까리 동백 꽃이 제 아무리 고와도
紙筆硯墨(지필연묵)文房四友(문방사우)晝耕夜讀(주경야독)螢雪成功(형설성공) 동네 방네 생각 나는 내 사랑만 하오리까
裹糧以送(과량이송)勿懶讀書(물라독서)借人典籍(차인전적)勿毁必完(물훼필완) 양식을 싸서 보내 주시면, 글읽기를 게을리 말라.
正其誼而(정기의이)不謀其利(불모기리)明其道而(명기도이)不計其功(불계기공) 그 마땅함을 바르게 할 뿐이나, 그 이로움을 꾀하지 아니하며, 아리랑 콧 노래를 들려나주소.
君爲臣綱(군위신강)父爲子綱(부위자강)夫爲婦綱(부위부강)是謂三綱(시위삼강) 임금은 신하의 벼리가 되고, 아버지는 자식의 벼리가 되고, 남치마 걷어안고 나물캐는 아가씨야
父子有親(부자유친)君臣有義(군신유의)夫婦有別(부부유별)長幼有序(장유유서) 아버지와 자식은 친함이 있고, 임금과 신하는 의리가 있고, 조롱조롱 달랑개가 제 아무리 귀여워도
朋友有信(붕우유신)是謂五倫(시위오륜)禮義廉恥(예의염치)是謂四維(시위사유) 벗과 벗은 믿음이 있나니, 이를 오륜이라 이르니라. 야월삼경 손을 비는 내 정성만 하오리까
天開於子(천개어자)地闢於丑(지벽어축)人生於寅(인생어인)是謂太古(시위태고) 하늘은 자시에 열리고, 땅은 축시에 열리고, 아리아리 동동 스리스리 동동
元亨利貞(원형이정)天道之常(천도지상)仁義禮智(인의예지)人性之綱(인성지강) 원과 형과 이와 정은, 천도의 떳떳함이니라.
|
'[한자자료] > 四字小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7章 敬 身 (0) | 2010.03.29 |
---|---|
[스크랩] 第5章 朋 友 ,第6章 男女之道 (0) | 2010.03.15 |
第3章 師 恩 ,第4章 兄 弟 (0) | 2010.03.04 |
[사자소학] 第1章 孝 道 (0) | 2010.03.01 |
四字小學(사자소학) (0) | 2009.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