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學輯要(성학집요)순서
< 註(주) > 1) 중국의 여섯가지 경서(經書). 곧 주역(周易) 시경(詩經) 서경(書經) 춘추(春秋) 예기(禮記) 악기(樂記). 또는 악기 대신에 주례(周禮)를 넣기도 한다. 육예(六藝) 또는 육적(六籍)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송(宋)나라 포성(浦城) 사람. 이름은 덕수(德秀) 자는 경원(景元) 또는 경희(景希) 서산(西山)은 그의 호임. 저서로 대학연의(大學衍義) 사서집편(四書集編) 등이 있다. 3) 실리(實理)·실용(實用)·실적(實迹)·실심(實心)·실사(實事)를 추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4) 이치를 탐구하는 일. 대개 경외(敬畏)의 마음으로 이치를 탐구하는 일을 뜻한다. 5) 해바라기가 해를 향하여 기울어진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군왕(君王)이나 장상(長上)의 덕을 경앙하는 것을 뜻한다. 6)임금에게 미미한 충성을 바친다는 뜻. 옛날에 미천한 농부가 미나리가 맛있고 등에 쪼이는 봄볕에 좋다고 여겨 임금에게 바치기를 원했다는 고사가 있다. 7) 「대학(大學)의 8조목에 속하는 것으로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지식을 극진히 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희(朱熹)는 격물「格物」의 「格」을 「至」, 즉 이르다는 뜻이라 하고 「物」을 사물이라는 뜻이라고 하여 사물의 개별적·경험적 탐구와 인식의 방법으로 풀이하였다. 치지(致知)에 관해서도 지(知)를 이루느냐 지(知)에 이르느냐는 논의가 있으나 주희(朱熹)는 지(知)를 이룬다는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이에 반하여 왕양명(王陽明)은 「格物」의 「格」을 正이라 풀이하여 사물을 바르게 한다는 뜻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왕양명은 격물치기를 「치양지」(致良知)설과 지행합일(知行合一)설의 입장에서 해석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왕양명의 해석은 선험적·직관적인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렇게 보면 본래 「대학」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은 주희적인 것과 왕양명적인 것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희, 왕양명 양자는 그 한 편에 치우쳤다고 할 수 있다. 8) 편벽된 기질(氣質)을 변화시켜 교정한다는 뜻. 이 이론은 송(宋)대의 장횡거(張橫渠)에서 비롯되었다. 9) 기(氣)를 기른다는 뜻으로 맹자(孟子)에서 말한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른다는 것을 말한다. 10) 「대학」의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에 해당되는 조목에서 제기된 것으로 혈구(矩)의 도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른바 천하를 화평하게 함이 그 나라를 다스림에 있다는 것은 위에서 노인을 노인으로 대접하면 백성들에게 효도가 일어나며 위에서 어른을 어른으로 대접하면 백성들에게 공경함이 일어나며, 위에서 외로운 사람을 불쌍히 여기면 백성이 배반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혈구의 도를 지녀야 한다. 즉 위에서 싫어하는 바로써 아랫사람을 부리지 말 것이며, 아래에서 싫어하는 바로써 위를 섬기지 말 것이며, 앞에서 싫어하는 바로써 뒤에 먼저 하지 말 것이며, 뒤에서 실어하는 바로써 앞에 따라가지 말 것이며, 오른편에서 싫어하는 바로써 왼편에 건내지 말 것이며, 왼편에서 싫어하는 바로 써 바른편에 건네지 말 것이다. 이것을 혈구지도(矩之道)라 하는 것이다」 11) 명나라 신종의 연호로 1575년, 선조 8년이다.
|
1. 수기 총론(修己總論) 2. 입지(立志) 3. 수렴(收斂) 4. 궁리(窮理) 5. 성실(誠實) 6. 교기질(矯氣質) 7. 양기(養氣) 8. 정심(正心) 9. 검신(檢身) 10. 회덕량(恢德量) 11. 보덕(輔德) 12. 돈독(敦篤) 13. 수기 공효(修己功效) 1. 정가 총론(正家總論) 2. 효경(孝敬) 3. 형내(刑內) 4. 교자(敎子) 5. 친친(親親) 6. 근엄(謹嚴) 7. 절검(節儉) 8. 정가 공효(正家功效) 1. 위정 총론(爲政總論) 2. 용현(用賢) 3. 취선(取善) 4. 식시무(識時務) 5. 법선왕(法先王) 6. 근천계(謹天戒) 7. 입기강(立紀綱) 8. 안민(安民) 9. 명교(明敎) 10. 위정 공효(爲政功效)
聖學輯要(성학집요)순서/제목을 클릭 하세요